학교 중심 영어․수학 교육 내실화
□ 실용영어 중심 학교 영어 공교육 정책 추진과 수학교육에 대한 근본적인 검토 및 개선을 통해 영어․수학 교육 내실화에 힘쓰기로 했다.
□ 우선, ‘정규교육과정 - 방과후 학교 - 자기주도적 학습’으로 이어지는 상시적 영어 학습 환경을 마련하여, 사교육에 의존하지 않고 영어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여건을 만들 계획이다.
○ 실용영어 중심 영어수업 확대와 교원 연수체제 개편, 전문인력 확충 등 실용영어 중심 학교 영어 공교육 정책을 지속 추진하며,
○ EBSe를 활용해 방과후 영어교육을 활성화할 방침이다.
- EBSe를 통해 학교급별 특성에 맞는 단계별, 수준별 방과후 영어교육용 학습교재를 개발하여,
- 여름방학부터 시범활용하고, 2학기부터는 모든 학교에서 방과후 프로그램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.
- 또한,「방과후 영어교육 지원 센터」사이트를 구축하여 영어교수․학습을 관리하고 사업 관련 정보를 지원한다.
□ 초․중등 수학교과를 ‘쉽고 재미있게 배우는 수학’으로 전환함으로써, 미래 융복합 시대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수학교육을 개편하고, 수학 사교육 부담을 경감시킨다.
○ 학생의 수요와 수준을 반영해 교과서 및 교육내용 체제를 개편하고, STEAM 교육과 연계하여 창의적․융합적 사고력을 배양한다.
- Story-telling형 교과서* 등 다양하고 재미있는 교과서를 개발․보급하는 한편,
* 기존의 공식과 문제 위주의 교과서가 아닌, 역사적 배경과 의미, 맥락, 사례 중심으로 이해하기 쉽게 풀어 쓴 교과서
예를 들어, 스마트폰 등 IT기기 SW의 기반이 되는 이진법은 언제, 누구에 의해, 어떤 용도로 탄생되었으며, 현재 어디에 활용되고, 미래에는 어떻게 쓰일지 등을 제시
- 학생 발달 단계에 따라 교과내용을 재설계하는 방안을 검토한다.
○ 교육현장의 자율적․창의적인 학습활동을 장려하며, 교사 연수 기관 및 프로그램의 전문화․다양화를 꾀한다.
- ‘수학수업연구발표대회’ 개최, 교사연구회 활동 지원 등을 통해 교육 현장의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학습활동을 장려하고,
- 참여형․실습형 연수와 맞춤형 심화연수를 강화할 계획이다.
○ 자기주도학습 지원사이트 구축, 학부모 대상 수학 교실 운영 등을 통해 학생, 학부모의 자기주도적 맞춤형 학습을 지원하고,
○ 수학교육연구센터 설치․운영으로 수학교육 선진화를 위한 기반을 조성할 계획이다.